• 북마크
  • 접속자 130
  • FAQ
  • 1:1문의
  • 새글

대화

베다구우(靈的인 것)에 관하여

5,297 2017.09.05 11:26

짧은주소

본문

왕은 물었다.
  "나아가세나 존자여, 베다구우(靈的인 것)가 있습니까."
  장로는 반문했다.
  "대왕이여, 베다구우란 대체 무엇입니까."
  왕은 말했다.
  "안에 있는 생명 원리(個我)는, 눈에 의하여 형상(色)
  을 보고, 귀에 의하여 소리를 듣고, 코에 의하여 냄새
  를 맡고, 혀에 의하여 맛을 보고, 몸(身)에 의하여 촉
  감을 느끼고, 마음(意)에 의하여 사상(事象 즉 法)을
  식별합니다. 마치 여기 궁전에 앉아 있는 우리가 동,
  서,남,북,어느 창문으로든 내다 보고 싶은 창문으로
  내다 볼 수 있는 것처럼, 안에 있는 생명 원리는 내다
  보고 싶은 어느 문으로든지 내다 볼 수 있습니다."
  장로는 대답했다.
  "대왕이여, 5개의 문에 관해서 말씀해 드리겠습니
  다. 잘 주의해 들어주십시오. 만일 안에 있는 생명
  원리가 대왕이 말씀하신 것처럼, 창문을 마음대로 고르듯
  이 눈에 의하여 형상을 볼 수 있다면, 눈에 의해서 뿐
  만 아니라 그 밖의 5개의 감관의 하나 하나에 의해서
  도 형상을 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 마찬가지로 소리를
  듣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맛을 보는 것, 촉감을 느끼
  는 것, 사상(法)을 식별하는 것에 있어서도 다른 5
  개의 감관(感官)의 어느 것에 의해서나 가능하지 않겠
  습니까. 즉 한 경우만이 아니라 모든 경우를 다 지적
  해 말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존자여,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대가 말한 것(창문과 감관을 비교하는 것)
  은 앞 뒤가 잘 들어 맞지 않습니다. 여기 궁전에 앉아
  있는 우리가 창문을 모두 열어 제치고 얼굴을 밖으로
  내밀어 큰 허공을 본다면 모든 대상을 보다 분명하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눈의 문이 제거(除
  去)될 때 안에 있는 생명 원리는 모든 대상을 보다 더
  명백하게 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 뿐 아니라 소리
  를 듣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맛을 보는 것, 촉감을 느
  끼는 것, 사상을 식별하는 것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
  문들이 제거될 때 역시 그렇지 않겠습니까."
  "존자여,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대가 말한 것은 앞 뒤가 잘 들어 맞지 않
  습니다. 대왕이여, 여기 딘나(사람 이름)가 밖에 나가
  문간에 서 있다고 합시다. 대왕은 딘나가 밖에 나가 문
  간에 서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그렇습니다. 알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딘나가 다시 돌아와 대왕 앞에 서 있다고
  합시다. 대왕은 딘나가 다시 돌아와 대왕 앞에 서 있
  다는 것을 알겠습니까."
  "그렇습니다. 알고 있습니다."
  "대왕이여, 마찬가지로 어떤 맛을 지닌 것이 혀 위에
  놓여졌을 때, 식별하는 생명 원리(個我)는 그것이 시
  다던가 짜다든다 쓰다던가 맵다던가 떫다던가 달다든
  가 하는 사실을 알겠습니까."
  "알겠습니다."
  "그러나, 맛을 지닌 것이 위(胃) 속으로 들어 갔을 때
  도 생명 원리(個我)는 맛을 알겠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대왕이여, 그대 말은 앞 뒤가 잘 들어 맞지 않습니다.
  대왕이여, 가령 어떤 사람이 백 개의 꿀 접시를 꿀통
  에 쏟은 다음, 어떤 사람의 입을 틀어막고 꿀이 가득
  들어 있는 그 통 속에 던졌다고 합시다. 통속에 던져
  진 사람은 단맛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겠습니까."
  "존자여, 그는 꿀맛을 모릅니다."
  "어째서 모릅니까."
  "꿀이 그 사람의 입속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왕이여, 그대의 말은 앞 뒤가 잘 들어맞지 않습니
  다."
  "존자여, 나는 그대와 같은 논자에게는 대적할 수 없
  습니다. 그 도리를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장로는 아비담마 론으로부터 도출된 이론으로
  써 밀린다 왕을 설득시켰다.
  "대왕이여, 눈과 형상(色)에 의하여 눈의 식별작용이
  생기고 그 밖에 접촉(觸)과 감수(感受 )와 표상(表象
  態)과 의사(思)와 통일작용(作意 즉 추상)과 생명감
  과 주의력 등이 함께 생겨납니다. 그리고 이것들과 유
  사한 인과(因果)의 연속은 감각 기관이 작용하게 될
  때 일어납니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상(事象=法)은
  연(緣)을 따라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거기에) 베다구
  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1건 1 페이지
제목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3.03.29 1,774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1.12.18 3,100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0.10.20 4,301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0.06.28 6,042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0.05.04 5,405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0.04.17 5,159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0.04.05 5,782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0.03.25 5,889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20.03.07 4,688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19.05.25 5,158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19.04.14 5,317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19.04.01 5,184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19.03.17 5,704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19.03.03 5,314
불목하니 아이디로 검색 2018.12.14 5,528
월간베스트

최신글이 없습니다.

닉네임 0000.00.00
LOGIN
설문조사
행복의 가치는 어디에 있을까요.